Algorithm

[programmers] 튜플 python

[프로그래머스] 튜플

문제

셀수있는 수량의 순서있는 열거 또는 어떤 순서를 따르는 요소들의 모음을 튜플(tuple)이라고 합니다. n개의 요소를 가진 튜플을 n-튜플(n-tuple)이라고 하며,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.

  • (a1, a2, a3, ..., an)

튜플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.

  1. 중복된 원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. ex : (2, 3, 1, 2)
  2. 원소에 정해진 순서가 있으며, 원소의 순서가 다르면 서로 다른 튜플입니다. ex : (1, 2, 3) ≠ (1, 3, 2)
  3. 튜플의 원소 개수는 유한합니다.

원소의 개수가 n개이고,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 (a1, a2, a3, ..., an)이 주어질 때(단, a1, a2, ..., an은 자연수), 이는 다음과 같이 집합 기호 '{', '}'를 이용해 표현할 수 있습니다.

  • {{a1}, {a1, a2}, {a1, a2, a3}, {a1, a2, a3, a4}, ... {a1, a2, a3, a4, ..., an}}

예를 들어 튜플이 (2, 1, 3, 4)인 경우 이는

  • {{2}, {2, 1}, {2, 1, 3}, {2, 1, 3, 4}}

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. 이때, 집합은 원소의 순서가 바뀌어도 상관없으므로

  • {{2}, {2, 1}, {2, 1, 3}, {2, 1, 3, 4}}
  • {{2, 1, 3, 4}, {2}, {2, 1, 3}, {2, 1}}
  • {{1, 2, 3}, {2, 1}, {1, 2, 4, 3}, {2}}

는 모두 같은 튜플 (2, 1, 3, 4)를 나타냅니다.

특정 튜플을 표현하는 집합이 담긴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s가 표현하는 튜플을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
풀이과정

요 문제는 좀 뭔소린지 싶지만.. 잘보면 쉬운 패턴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.
{{2, 1, 3, 4}, {2}, {2, 1, 3}, {2, 1}}
{{1, 2, 3}, {2, 1}, {1, 2, 4, 3}, {2}}
요 두가지가 모두 (2,1,3,4)를 나타내는 것을 통해 패턴을 찾아낼 수 있다. 즉, 원소의 개수가 하나인 것이 제일 처음 튜플의 원소이고, 개수가 2인 집합에서 튜플에 들어있는 원소를 제외한 것이 두번째 원소이다. 이런 식으로 계속 진행하다보면 (2,1,3,4)를 만들어낼 수 있다.

{{1, 2, 3}, {2, 1}, {1, 2, 4, 3}, {2}} 경우에서 예를 들어보자면,

  • 원소가 1개인 집합 : {2}
    따라서 튜플의 첫번째 원소는 2이다.
    튜플 : ( 2, ..)
  • 원소가 2개인 집합 : {2,1}
    튜플에 이미 들어있는 원소인 2를 제외하면 남은 1이 두번째 원소이다.
    튜플 : ( 2, 1, ..)
  • 원소가 3개인 집합 : {1,2,3}
    튜플에 이미 들어있는 원소인 1,2 를 제외하면 남은 3이 세번째 원소이다.
    튜플 : ( 2, 1, 3, .. )
  • 원소가 4개인 집합 : {1,2,4,3}
    튜플에 이미 들어있는 원소인 1,2,3을 제외하면 남은 4가 네번째 원소이다.
    튜플 : ( 2, 1, 3, 4 )
    따라서 완성된 튜플은 (2,1,3,4) 이다.

소스코드

소요 시간 23:37

def separate(s):
    answer = []
    size = len(s)
    s = s[1:size - 1]  # 맨 처음과 맨 끝의 중괄호 제거

    flag = False
    tmp1 = []
    tmp2 = ''
    for i in range(len(s)):
        if s[i].isdigit():  # 숫자이면
            tmp2 += s[i]
        if s[i] == ',' and tmp2:
            tmp1.append(int(tmp2))
            tmp2 = ''
        if s[i] == '}':
            if tmp2:
                tmp1.append(int(tmp2))
            answer.append(tmp1)
            tmp1 = []
            tmp2 = ''
    answer = sorted(answer, key=lambda x: len(x))  # 원소 개수 순으로 정렬
    return answer


def solution(s):
    answer = []
    s = separate(s)  # 리스트로 분할
    for i in range(len(s)):
        if len(s[i]) == 1:
            answer.append(s[i][0])
        else:
            for j in range(len(s[i])):
                if s[i][j] not in answer:
                    answer.append(s[i][j])

    return answer